본문 바로가기

당신을 위한 정보

리플리 증후군 vs 공상허언증 vs 허언증 뜻·공통점·차이점

리플리 증후군 (Ripley Syndrome)

리플리증후군은 공식적인 정신질환 명칭은 아닙니다. 리플리증후군은 1955년 퍼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쓴 심리 스릴러 소설 [재능있는 리플리씨]에서 나온 말인데요. 동경하던 부자 친구를 죽이고 스스로 그 친구인 것 처럼 행동하며, 자신이 지어낸 내용이 사실이라고 굳게 믿기 때문에 죄책감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 주인공 리플리씨의 심리에서 유래 된 말입니다. 허구의 세계를 지어내고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지만, 그 말들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본인조차 자각하지 못하고 사실이라고 굳게 믿는다는 점에서 공상허언증(뮌하우젠 증후군)과 비슷한 증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기꾼이나 일반적인 사람들이 어떤 이익을 위하여 거짓말을 하는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리플리증후군, 공상허언증 환자가 보는 가상 세계
리플리증후군, 공상허언증 환자가 보는 가상 세계

공상허언증 vs 허언증

리플리증후군과 가장 가까운 의료적 진단은 공상허언증입니다. 거짓말을 상습적으로 반복하며, 그 거짓말을 실제로 믿고 있어 죄책감이나 불안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데요. 1891년 안톤 델브뤼크가 처음으로 설명 한 개념입니다. 공상허언증 환자는 자신만의 완벽한 세계를 구축하고 있어 그 거짓말 안에서 어떠한 모순도 느끼지 못하며, 지어낸 사실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동경하고 찬양하는 것을 동기삼아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집니다. 반면 허언증은 자신이 지어낸 거짓말들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스스로 자각하고 있기 때문에 남들에게 그 사실을 들키는 것에 대해 늘 불안함이 있다는 것이 공상허언증과의 가장 큰 차이입니다. 허언증이나 공상허언증 모두 증상이 심하다면 정신과적 치료를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